공공산후조리원 ‘감염문제.실효성' 관건
진주시-설립운동본부 조례제정 공청회 열띤 토론
정희성 기자 ㅣ 기사입력 2011/03/02 [18:48]
2일 진주시청 3층 대회의실에서 열린 공공산후조리원 설립·지원 조례제정을 위한 공청회에서 가장 핵심은 ‘공공산후조리원 설립이 출산대책의 획기적인 대책이냐’와 ‘신생아의 감염문제’였다.
이 날 공청회에는 민주노동당 김미영 시의원, 진주보건소 김병성 소장, 경상대 의과대학 예방의학과 정백근 교수 등이 참석해열띤 토론을 펼쳤다.
김미영 의원은 “진주시 출생아수는 지난 2004년 3,072명에서 2008년 2,853명으로 10.7% 감소했다”며 출산율 증가를 위해 반값 공공산후조리원 설립·지원 조례제정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김의원은 “진주시에 있는 5개 산후조리원을 조사한 결과 2주간 평균 비용은 적게는 104만원에서 많게는 240만원에 달했다”며 “공공산후조리원을 설립하면 일반인 및 거강보험가입자는 일일 6만원씩 2주간 84만원이면 되고 차상위계층의 경우 일일 3만원(2주간 42만원)의 비용이 든다. 이렇게 되면 진주지역 저소득층 산모들에 대한 안전한 출산과 산후조리 기회 부회는 물론 영아 건강권도 보장할 수 있다”며 강조했다.
이에 김병성 진주보건소장은 “공공산후조리원 설립의 핵심은 예산문제가 아니다”며 “과연 공공산후조리원 설립이 출산율을 상승시킬 획기적인 대책이냐와 신생아의 감염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다”라고 말했다.
이어 “공공산후조리원은 아직 타 지자체에서 진행되지 않은, 즉 검증되지 않은 사업이다. 충분한 검토와 심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소장의 주장에 김미영 의원은 “공공산후조리원은 적어도 돈만 들고 실효성이 없는 많은 출산대책보다는 확실한 효과가 있는 사업”이라며 “서울 송파구의 경우 산모건강증진센터 건립이 의회를 통과해 2012년 개원할 예정”이라며 반박했다.
한편 공청회에 참석한 정백근 경상대 교수도 “신상아 감염문제가 공공산후조리원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라면 그건 민간산후조리원도 마찬가지”라며 “보건소가 관리감독을 철저히 하면 된다”며 김 의원에 힘을 실어 줬다. 정희성 기자
|